[오라클관리실무ch12]. Network 와 oracle Net Service
3. oracle server로 접속하기.
#1. oracle 사이트에서 11gR2client를 다운받은후 setup설치한다.
① oracle 사이트에서 download > oracle database
② accept license agreement 동의.
③ 11g release 2에서 microsoft windows 64bit 를 모두보기 누름.
④ accept license agreement 동의.
⑤ win64 11g R2 client.zip을 다운
⑥다운받은 폴더에 가서 setup 설치
#2. setup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 '관리자'를 선택.
- 한국어, 영어가 선택되어 있다면 '다음'
- oracle 소프트웨어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복사해서 기억해 둔다.
- 요약정보 확인후 완료
#3. neat 과정진행
- 시작에서 cmd를 검색후 창을 킨다.
- netca 입력.
- '리스너구성'은 client쪽에서 할 필요 없다.
- '로컬 네트 서비스 이름 구성'이 tnsnames.ora파일을 만드는 것이므로, 이를 선택.
-리스너를 새로 생성할 것이므로 '추가'
- 반드시 접속하고자 하는 db이름을 친다.
- TCP 프로토콜 사용.
- 자신의 vmware에서 ifconfig로 찾은 IP주소를 입력한다.
#4. 테스트수행. TNS리스너가 없습니다.
- invalid username ~~ 리스너가 켜져있다는 얘기다.
- 일단 putty창에서 oracle로 로그인해서 $ORACLE_HOME/network/admin 에서 listener.ora파일을 vi로 열어 수정한다.
- listener.ora파일에 host 주소를 자신의 ip주소로 적어준다.
- 리스너를 모두 stop한다.
-리스너를 다시 시작한다. (마지막에 서버이름인 'testdb'가 떠야 정상인데 보이지 않음.)
#5. 테스트수행. 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
-다시 '뒤로'갔다가 '다음'을 누르면 '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이라고 오류가 뜬다.
-> user process가 tnsnames.ora에서 testdb이름의 ip주소와 port와 service name= testdb를 보고 들어가는데, service name을 확인할 수 없다는 말.
- listener.ora파일을 다시 확인하여 listener와 SID_LIST_LISTENER를 한 셋트로 맞춰 준다.
- 리스너를 STOP 후, 다시 START하면 밑에 "testdb"가 떴으므로 정상적으로 리스너 켜졌다.
#6. tnsnames.ora 파일 설정.
-다시 에러를 확인해보니 이런 오류가 뜬다.
- putty창에서 tnsnames.ora파일의 내용을 복사한다.
- 윈도우에서 tnsnames.ora파일의 경로를 찾아가서 메모장으로 연다.
(주의! 이전에 toad를 설치하면서 시스템경로를 바꿔줬다면 그폴더에있는 tnsnames.ora를 참조하므로 잘 확인해볼 것!)
- putty창에서 tnsnames.ora파일의 내용을 복사한 것을, 윈도우의 tnsnames.ora파일에 붙여넣기 한다.
- 다시 리스너를 stop -> start 해서, db이름이 뜨는지 확인한다.
-cmd창에서 sqlplus scott/tiger@db이름 으로 리눅스에 접속한다.
-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뜬다면, db가 꺼져있을 수 있다.
-sys 계정으로 로그인한후 db를 startup한다.
-다시 cmd창에서 리눅스에 접속한다. (성공)
#7.다른 서버로 접속!!
- 다른 서버로 접속할 때는 NAT가아니라 bridged로 연결을 해야하므로, vmware창에서 리눅스를 종료후 설정을 바꿔준다.
- neat를 연결해, eth0을 변경한다.
- ip주소를 정적으로 지정해준다.
- activate 눌러 활성화 시켜준다.
- service network를 restart 시켜준다.
- listener.ora 파일을 vi창으로 연다.
- host주소에 자신의ip주소가 맞는지 확인한다.
-리스너를 재시작한다. (stop -> start)
- sys계정으로 로그인해 db를 startup시킨다.
- 윈도우에서 tnsnames.ora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자신의 계정 아래에 추가로, 접속하고자하는 다른서버의 ip주소를 입력해준다.
- cmd창에서 다른서버의 리눅스로 접속한다.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