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L 3 설치
리눅스 설치(RHEL3)
<1> RHEL 3 설치
1. VMware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2. custom 선택
3. vmware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 : 기본 값으로 next
4. ‘vmware 설정 후 os를 별도로 설치한다’는 마지막 옵션을 선택
5. Guest OS 선택 (윈도가 설치된 상태에서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윈도를 주인(host OS)라고 하고, 리눅스를 GuestOS라고 합니다.) : (Linux -> RHEL3을 선택)
6. 가상서버 이름과 컴퓨터에 저장될 경로를 지정.
7. cpu 개수와 코어 개수 지정 : 기본값으로 진행
8. 메모리 용량은 1G (1024MB)정도로 지정해준다.
- 리눅스 서버가 사용할 메모리를 의미하는데 보통 OS 전체 메모리의 절반 정도를 할당합니다. 이 메모리를 가지고 나중에 오라클 설치하면 오라클과 리눅스가 함께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OS 메모리가 작을 경우에도 최소 512Mb 정도는 할당하셔야 합니다.
9. 서버의 Network 를 설정합니다. OS에서 VMware 에게 IP주소를 할당하는 NAT 방식을 사용하겠습니다.
10. Disk I/O 컨트롤러 타입 설정. 권장 값(Recommended)값으로 진행.
11. Disk 설정 : 새로운 디스크 생성
12. Disk Type 설정 : Recommeded값으로 진행
13. HDD용량 설정 : 20GB
14. 설정이 저장될 파일명을 지정 (기본값).
15. 전체 요약정보를 보여줌. Finish
16. vmware창에서 Device의 CD/DVD를 눌러 해당 image file을 넣습니다.
17. 초록색 삼각형 버튼을 누르면 리눅스 설치가 시작됩니다.
18. vmware가 설치cd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화면.
- 혹시나 설치 cd가 문제 있을 경우, 설치 도중 에러가 나기 때문에, 그 전에 미리 설치 cd의 문제점을 체크하는 단계입니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오라클 사이트에서 받은 이미지는 거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skip을 선택합니다.
19. GUI설치화면 . next
20. 설치시 사용할 언어 선택 : 기본값 영어 next
21. 키보드 종류 선택. 기본값 영어 next
22. wheel mouse 선택
23. manually partition with Disk Druid 선택
- 디스크 파티셔닝 하기전에 디스크의 내용이 전부 지워진다는 경고화면.
여기서 지워지는 디스크는 윈도 디스크가 아니라 vmware 셋팅시에 새로 생성했던 리눅스용 디스크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안심하고 yes.
24. 원하는 파티셔닝 선택: new클릭
25. 원하는 파티셔닝
/ : 5000
/boot : 100
/var : 1000
Swap : 2000
/home : Fill to maximum allowable size
-RAM Swap Space를 결정하실 때에는 (32비트용 기준) Ram 사이즈가 1GB에서 2GB사이이면, RAM크기의 1.5배정도 하면 되고, RAM 사이즈가 2GB에서 16GB이면 RAM크기와 같이 설정하고, 16GB 이상이면 swap크기는 16GB로 하면 됩니다. 만약 64bit 리눅스일 경우에는 4 GB 에서 8 GB 일 경우는 RAM 2배를 설정하고, 8 GB 에서 32 GB 일 경우에는 RAM 의 1.5 배로, 32 GB 이상 일 경우 32 GB 로 설정하면 됩니다.
26. BootLoader 선택(기본값) : 한 컴퓨터에 OS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을 때 OS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
27. 네트워크 설정 (앞에서 vmware 설정할 때 네트워크를 NAT로 설정한 경우, 이 화면에서 기본값 (DHCP)로 사용하면 되고, Birdge로 설정한 경우는 Edit버튼을 눌러서 수동으로 ip를 설정하면 됩니다.)
28. 방화벽 No firewall 선택
29. 추가언어선택 -> korean을 체크후 위에 korean으로 바꿔줍니다.
30. 지역 설정 : Asia/Seoul 선택
31. Root 계정의 암호 설정. 윈도의 Administrator와 같이 리눅스 서버를 관리하는 왕의 역할을 하는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계정입니다. 원하는 암호 두번 쓴후 next.
32. customize the set of packages to be installed 선택
33. - Application에서 아래와같이 체크 (Game 체크해제)
-Server에서 모든 체크 해제
-Development에서 전부 체크
-System에서 system tool 체크
34. next누르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35. disc 교체해달라는 팝업이 뜨면, 우측아래 CD아이콘을 더블 클릭해서 ISO이미지파일을 교체해줍니다. (cd4까지 반복)
- 여기서 connected를 꼭 체크해줘야합니다.
36. 마지막으로 다시 disc1 cd로 교체해줍니다.
37. 기본값 vmware next
38. LCD panel 1024x768 선택
39. 해상도 1024x768선택후 next
40. 설치 종료후 재부팅
41. 재부팅 후 설정화면입니다.
42. 계약서 동의 화면. – 동의합니다.
43. 날짜와 시간 설정. 기본값 다음
44. “로그인을 등록해야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를 선택후 다음
45. “현재 등록절차를 마칠 수 없음. 나중에 완료할 예정임” 선택후 다음
46. 시스템사용자 쓰지않고, 바로 다음-> 계속진행
47. sound 설정 – 기본값 next
48. 추가 프로그램 설치 화면. Next
49. 설치 완료 next
50. root로 로그인합니다.
51. 로그인 후 바탕화면. (완료)